인구문제를 풀지 못한다면, 벚꽃 피는 순서대로 지자체가 소멸한다는 속설이 있다. 이보단 한국이 ‘점차 늙어간다’는 것이 더욱 큰 두통거리다. 지난 4일 행안부에 따르면, 2008년 처음 인구통계를 작성한 이래, 60대가 40대보다 많아진 것은 처음이다. 우리 사회가 고령화로 올해 7월에는 65세 이상 주민등록인구가 처음으로 1000만 명을 넘었다.
지난 2일 통계청의 ‘100세 이상 인구 현황’에 따르면, 100세 이상 인구는 2019년 4874명에서 2023년 7634명으로 56.63% 증가했다. 남성은 1298명(17%), 여성은 6336명(83%)이었다. 100세 이상 여성 인구가 남성보다 4.8배 이상 많았다. 2023년 현재 전국 229개 시·군·구 중 인구 10만 명 당 100세 이상 인구가 가장 많은 곳은 전남 고흥이었다. 가장 적은 곳은 경북 울릉이었다.
상위 10개 시·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전남 고흥(78명)에 이어 경남 합천 71명이었다. 전북 고창 63명, 전북 담양 62명, 경북 영양 59명 순이다. 100세 이상 인구 조사에서 상위 10곳 중 5곳이 전라도다. 경북에선 영양이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다. 백수(白壽)를 넘긴다는 것은 본인이나 가족에겐 치하 할 일이다. 그러나 이와 비례해, 출생도 많다면, 더욱 좋을 것이다.
지난 8일 경북도가 경산 하양우미린에코포레아파트에서 이철우 지사, 박성만 도의장, 최슬기 저출산고령사회위 상임위원, 경산시장, 도·시의원 등이 참석, ‘K보듬 6000’ 1호 점을 개소했다. 이날 행사는 어린이 마술공연, K보듬 6000 추진 경과 설명으로 시작했다. K보듬 종사자증 및 봉사자증 수여식, K보듬 시설 라운딩, 현장 토론 등 순으로 진행됐다.
경산 K보듬 6000 1호점은 아파트 1층에 영유아 돌봄 시설인 시립 하양에코어린이집, 초등 돌봄 시설인 에코포레마을돌봄터, 공동육아 나눔터, 독서와 휴식을 위한 에듀센터, 재능 나눔 프로그램을 상시 운영하는 체육관, 어린이 안전 놀이터가 들어섰다. 이 모두가 우리 아이의 건강한 성장을 위함이다. 예전엔 온 마을이 함께 아이를 돌보던 문화를 현대식 아파트 거주에 맞게 새롭게 재구성했다. 온 마을 공동체가 아이를 안전하게 함께 돌보는 환경을 조성했다.
K보듬 6000은 오전 7시 30분부터 자정까지 무료다. 자격 갖춘 전문가가 영유아와 초등생을 돌봐주고 놀아준다. 부모, 조부모, 경로당 어르신이 육아 도움을 준다. 자율방범대, 의용소방대는 센터 주변을 안전 순찰한다. 자원봉사자는 재능 나눔 특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5년 이상 돌봄 경력자 등 믿음직한 최우수 교사를 채용했다. 원어민 교사를 상시 배치한다. 체육, 과학 등 특색 있는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친환경 과일 간식과 초등생 대상 방학 중 점심도 제공한다.
보듬 시설에는 비상 알림, 구조 버튼을 설치했다. 긴급 상황에 빠른 대처가 가능하다. 아이 안심 길도 조성돼, 안전한 도보 이동을 지원한다. 수요맞춤형 돌봄 버스가 시설~학교~학원 간 이동도 돕는다. K보듬 6000은 올해 포항, 안동, 구미, 경산, 예천, 김천, 성주 등 7개 시·군에 53곳이 개소한다. 내년에는 전 시·군으로 확대한다.
경북도의 저출생 극복은 ‘마을 공동체 회복’이다. 저출생을 해결하기 위해 가족 해체와 공동체의 붕괴를 막아야 한다는 데서부터 출발했다. 공동체 회복의 슬로건은 ‘함께 키워요’다. 대표 브랜드 모델은 공동체가 아이를 함께 돌보는 ‘K보듬 6000’이다. K는 경북(Gyeongbuk-do)에서 만든 돌봄 모델을 대한민국(Korea)으로 확산한다는 의미를 담았다. 보듬은 상대방을 따뜻하게 품에 안아 보호하고 배려하는 행동을 의미한다. 6000은 1년 365일 24시간 아이를 보호하고 감싼다는 의미로 육아 천국의 축약어다.
이철우 경북 지사는 K보듬 6000은 경북의 저출생 극복 완전 돌봄 모델로 대한민국 대표 돌봄 모델이다. 하루도 빠짐없이 아이를 돌봄으로써, ‘경북도서부터 젊은 한국’을 구현하길 바란다. |
|
|
사람들
경주시 황성동 환경보호협의회가 지난 22일 황성동 공영주차장과 공동주택 일대에서 환경정비
|
경주시 월성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꼼꼼복지단은 지날 27일 ‘APEC 클린데이’에 참여해
|
울진 후포면이 지난 27일 맨발걷기 및 환경정화 활동을 실시했다.
|
영주2동 통장협의회가 28일 회원 2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중앙선 철도하부공간 일원에서
|
청도시화라이온스클럽이 지난 27일 여름 김장김치 100통을 어려운 이웃에게 전달해 달라며
|
대학/교육
영진전문대 동물보건과, 日서 현장수업···반려문화산업 체험 |
계명 문화대, ‘늘배움서포터즈’ 발대식 |
대구한의대, 제2회 반려동물행동지도사 국가자격시험 필기 고사장 운영 |
국립경국대 글로컬대학추진단, 국제백신연구소 안동분원 단기 인턴십 |
대구공업대 호텔외식조리계열, 떡제조기능사 특강 |
박동균 대구한의대 교수, "'한국형 공인탐정' 도입해야" |
계명대-도공 대구지부, 교통안전 강화 위한 협약 |
계명문화대, 태국 방콕직업교육원과 TVET 교육 교류 업무협약 |
대구한의대 평생교육원, 가산수피아와 파크골프 전문인력 양성 협약 |
국립경국대 글로컬대학추진단, 말레이시아 티드렉(TIDREC)과 ‘맞손’ |
칼럼
경주 원도심에는 오랜 세월을 함께해 온 두 동네가 있습니다. 바로 중부동과 황오동
|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
물길을 막으면 저항력이 생기고 부패하며 임계점에 도달하면 둑이 터진다. 인간의 길
|
대학/교육
영진전문대 동물보건과, 日서 현장수업···반려문화산업 체험 |
계명 문화대, ‘늘배움서포터즈’ 발대식 |
대구한의대, 제2회 반려동물행동지도사 국가자격시험 필기 고사장 운영 |
국립경국대 글로컬대학추진단, 국제백신연구소 안동분원 단기 인턴십 |
대구공업대 호텔외식조리계열, 떡제조기능사 특강 |
박동균 대구한의대 교수, "'한국형 공인탐정' 도입해야" |
계명대-도공 대구지부, 교통안전 강화 위한 협약 |
계명문화대, 태국 방콕직업교육원과 TVET 교육 교류 업무협약 |
대구한의대 평생교육원, 가산수피아와 파크골프 전문인력 양성 협약 |
국립경국대 글로컬대학추진단, 말레이시아 티드렉(TIDREC)과 ‘맞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