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내년 예산은, 올해를 결산하는 과정에서 부족했던 것을 보완했다. 따라서 내년도 예산을 톺아보면, 올해 어떤 점이 미비했는가를 알 수 있다.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오는 해는 어디에다 중점을 둔, 도정(道政)을 추진하는 것을 짚을 수가 있다. 예산은 도정의 지표이기 때문이다.
경북도에 따르면, 내년 예산안 편성 규모는 13조 2,618억 원이다. 일반회계는 지난해보다 6,074억 원(5.5%)이 증가한 11조 7,267억 원이다. 특별회계는 지난해보다 467억 원(3.1%)이 증가한 1조 5,351억 원이다. 경북도는 지속적 성장 둔화, 경제 위축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강력하게 재정을 혁신한다. 공격적으로 국비를 확보한다.
성과 평가 미흡 이하 사업은 20~30%을 감액했다. 3년 이상 지원 지방 보조사업 원점을 재검토했다. 성과 기반 구조조정을 실시해, 재정 건전성 및 효율성을 확보했다. 저출생 극복 프로젝트, APEC성공 개최로 경북 위상을 강화한다. 1조 펀드 조성 등으로 민간 투자를 활성화한다.
경북이 주도하는 지방시대 실현, BBC+E(배터리, 바이오, 반도체+에너지) 등 미래 성장 동력 확충 등 핵심 과제에 집중 투자한다. 경북이 다시 한 번 대한민국 성장의 중심이 될 수 있는 마중물 예산안을 편성했다.
총체적으로 2025년도 주요 예산 편성 현황을 보면, 내년도 예산의 슬로건은 ‘아이들 덕분에 행복한 경북!!’이다. 저출생 대책을 한층 Up-grade했다.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88억)을 투자한다. 산부인과·소아과 One-hour진료체계 구축(42억)에 행복 출산 사업에 570억 원을 투입한다. K-보듬 6000 육아 천국 확산(473억), 공공형 어린이집 지원(73억), 통합 돌봄 클러스터 건립지원(40억) 등 완전 돌봄 사업에 1,168억 원을 편성했다.
청년 신혼부부 월세 지원(27억) 등 안심 주거 사업은 164억 원이다. 일·생활 균형사업에 37억 원, 양성 평등사업에 39억 원 등을 투자한다. 찾아가는 산부인과 버스, 우리 동네 아빠교실 등 25개 사업 60억 원을 투입해, 저출생 극복을 지원한다.
경북의 힘으로 역대 가장 성공적 APEC정상회담을 개최하기 위해, 모든 자원과 역량을 투입한다. 컨벤션센터를 리모델링(244억)한다. 숙박시설 리모델링 및 숙식을 지원(71억)한다. APEC정상회담 성공개최 지원에 885억 원을 직접 투자한다.
‘경북이 주도하는 지방시대, 경북도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실현한다. 취약계층을 지원한다. 소상공인을 지원해, 지속 가능한 발전 토대를 마련한다. K-과학자 마을을 조성(388억)한다. K-U 시티 정주환경 조성(21억), K-U시티 지역산업기반 연구지원센터를 건립(19억)한다. 경북이 주도하는 지방시대 토대엔 3,451억 원이다.
도시재생 뉴딜(358억), 운행 경유차 배출가스 저감 사업(367억) 등 지속 가능한 발전 경북 기반 조성 등에 1조 7,882억 원이다. 기초연금 지원(1조 7,194억),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5,768억),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을 지원(1,929억)한다. 책임 복지 지원은 3조 2,735억이다. 취약지역 응급의료 기관운영 지원(43억), 의료인력 인건비 등을 지원(30억)한다.
전통시장 시설 현대화 사업(73억), 소상공인 육성 자금 지원업체 이차보전(40억), 소상공인 카드수수료 지원(30억)한다. 청년성장 프로젝트(8억), 청년애(愛) 꿈 수당(8억) 등 청년의 꿈 실현 지원에 665억 원 등을 투자한다. ‘경북의 미래성장엔진, ‘기술 주도형 산업대전환’등 주력산업 생태계에 전방위적 기술혁신과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는 등 경북의 미래성장 동력확보에 집중적으로 투자한다.
농촌공간조성(257억), 축산 악취 개선(20억) 등 경북 농·축산업 대전환 조기 실현에 1조 1,326억 원, 기후 대응 도시 숲을 조성(135억)한다. 이철우 경북 지사는 미래성장 동력 산업 육성 등 핵심 분야에 투자한다. 예산 투자는 경북도가 보다 잘 살기위한 것 들이다. 의회 심의과정에서 보다 정밀하게 다듬어, 더욱 성장·발전하는 경북도가 되길 바란다. |
|
|
사람들
경주시 황성동 환경보호협의회가 지난 22일 황성동 공영주차장과 공동주택 일대에서 환경정비
|
경주시 월성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꼼꼼복지단은 지날 27일 ‘APEC 클린데이’에 참여해
|
울진 후포면이 지난 27일 맨발걷기 및 환경정화 활동을 실시했다.
|
영주2동 통장협의회가 28일 회원 2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중앙선 철도하부공간 일원에서
|
청도시화라이온스클럽이 지난 27일 여름 김장김치 100통을 어려운 이웃에게 전달해 달라며
|
대학/교육
영진전문대 동물보건과, 日서 현장수업···반려문화산업 체험 |
계명 문화대, ‘늘배움서포터즈’ 발대식 |
대구한의대, 제2회 반려동물행동지도사 국가자격시험 필기 고사장 운영 |
국립경국대 글로컬대학추진단, 국제백신연구소 안동분원 단기 인턴십 |
대구공업대 호텔외식조리계열, 떡제조기능사 특강 |
박동균 대구한의대 교수, "'한국형 공인탐정' 도입해야" |
계명대-도공 대구지부, 교통안전 강화 위한 협약 |
계명문화대, 태국 방콕직업교육원과 TVET 교육 교류 업무협약 |
대구한의대 평생교육원, 가산수피아와 파크골프 전문인력 양성 협약 |
국립경국대 글로컬대학추진단, 말레이시아 티드렉(TIDREC)과 ‘맞손’ |
칼럼
경주 원도심에는 오랜 세월을 함께해 온 두 동네가 있습니다. 바로 중부동과 황오동
|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
물길을 막으면 저항력이 생기고 부패하며 임계점에 도달하면 둑이 터진다. 인간의 길
|
대학/교육
영진전문대 동물보건과, 日서 현장수업···반려문화산업 체험 |
계명 문화대, ‘늘배움서포터즈’ 발대식 |
대구한의대, 제2회 반려동물행동지도사 국가자격시험 필기 고사장 운영 |
국립경국대 글로컬대학추진단, 국제백신연구소 안동분원 단기 인턴십 |
대구공업대 호텔외식조리계열, 떡제조기능사 특강 |
박동균 대구한의대 교수, "'한국형 공인탐정' 도입해야" |
계명대-도공 대구지부, 교통안전 강화 위한 협약 |
계명문화대, 태국 방콕직업교육원과 TVET 교육 교류 업무협약 |
대구한의대 평생교육원, 가산수피아와 파크골프 전문인력 양성 협약 |
국립경국대 글로컬대학추진단, 말레이시아 티드렉(TIDREC)과 ‘맞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