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위한 가장 확실한 투자는 교육이다. 우리 미래는 바로 교육이기 때문에 그렇다. 여성가족부의 교육부와 통계청 등의 각종 청소년 관련 조사 결과를 인용한, ‘2024 청소년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초·중·고교생의 사교육 참여율은 평균 78.5%이었다. 사교육 참여율은 초등학생 86.0%, 중학생 75.4%, 고등학생 66.4% 순이었다.
지난 4월 교육계에 따르면, 전국 교대 입학 정원을 12%가량 감축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OECD의 한국경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교육은 ‘황금 티켓 증후군’(黃金티켓症候群 Golden ticket syndrome)이란 좁은 분야다. 소수의 사람만 성취할 수 있는 사회적 성공을 위해서다. 경북교육청은 이 같은 당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2025년도 예산안을 편성했다.
경북교육청이 2025년도 경북 교육비 특별회계 예산안을 전년에 비해, 1,633억 원이 늘어난, 5조 6,174억 원으로 편성했다. 이번 예산안은 세수 결손과 고교 무상교육, 담배 소비세 지방 교육세분 일몰 등 불안정한 재정 상황이었다. 그럼에도 늘봄학교와 디지털 교육, 교육 복지 등 미래교육에 대한 투자를 강화했다.
재정 운용 효율성을 높였다. 자체 적립한 교육시설 환경개선 기금 1,920억 원을 활용했다. 유사·중복되는 목적사업비를 통합했다. 일부는 기본 운영비로 전환했다. 따라서 학교 재정 운영 자율성을 확대했다. 성장을 지원하는 학습자 주도형 교육과정과 불확실한 미래에 대비하는 힘이 되는 미래교육, 교육 공동체 회복과 조화로운 성장을 지원했다. 학령인구 감소에 능동·선제적 대응에 중점을 뒀다.
성장을 지원하는 학습자 주도형 교육과정을 위해 두드림학교, 기초학력 오름학교 등 기초학습 부진 학생 책임지도 등엔 76억이다. 국제 바칼로레아(IB) 프로그램 14억, 고교학점제 95억, 교과 교실제 등엔 87억 이다. 놀이 수업 학기제, 학생 생성 교육과정 운영 등 학급 교육과정 운영 26억 이다. 따뜻한 행복학교엔 26억 이다. 놀이 중심 교육과정 43억, 경제교육 8억 원 등엔 총 516억 원을 편성했다.
불확실한 미래를 대비하는 힘이 되는 미래 교육 추진을 위해선 AI디지털 교과서 구매비 87억이다. 전자칠판 113억, 컴퓨터 165억, 학생 스마트기기 등엔 96억 원 이다. 학교정보화 장비보급엔 520억 이다. 학내 전산망 구축 관리엔 79억 이다. 디지털온선도학교, 찾아가는 학교 연수 등 스마트교육 등엔 190억 이다. AI 정보교육 중심학교, 채움교실구축 등 소프트웨어 교육 등엔 62억 이다. 그린스마트 스쿨 1,426억, 학교 신증설 1,515억 원 등 총 3,948억 원을 편성했다. 교육공동체 회복과 조화로운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교육활동 보호센터 운영 등 교권 보호 등엔 10억 이다. 학생마음건강지원 6억, 가정형wee센터 운영 등엔 6억 이다. 무상급식 식품비 1,623억, 급식 운영비 150억, 학기 중 토·공휴일 급식비 지원 등엔 97억 이다.
누리과정비엔 1,554억 이다. 4~5세 유아 교육비 및 보육료 추가 지원 등엔 161억 이다. 교육 급여 136억, 수학여행 및 수련 활동비 188억, 졸업 앨범비 29억 원 등 저소득층 자녀 지원 등엔 459억 원 이다. 다문화 교육 53억 원 총 5,109억 원을 편성했다. 학령인구 감소에 대한 능동·선제적 대응을 위해 늘봄학교 운영엔 714억 이다. 방과 후의 자유수강권지원 245억, 농산어촌 방과 후 학교 운영 등엔 100억 이다. 경북미래교육지구엔 40억 이다. 학교복합시설 3억, 온라인학교 7억, 해외 우수유학생 유치 등엔 6억 이다. 작은 학교 자유학구제 운영엔 20억 이다. 작은 학교 가꾸기 5억 원 등 총 1,255억 원을 편성했다.
임종식 교육감은 한정된 재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해 학교 현장을 지원한다. 지금의 학교 현장은 미래를 위한 것인가를 당대서 미래까지를 잘 톺아봐야한다. 여기에 우리의 미래가 전적으로 달려있다. 경북교육청은 한국교육이 바로 가는 것에 역점을 두길 바란다. |
|
|
사람들
경주시 황성동 환경보호협의회가 지난 22일 황성동 공영주차장과 공동주택 일대에서 환경정비
|
경주시 월성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꼼꼼복지단은 지날 27일 ‘APEC 클린데이’에 참여해
|
울진 후포면이 지난 27일 맨발걷기 및 환경정화 활동을 실시했다.
|
영주2동 통장협의회가 28일 회원 2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중앙선 철도하부공간 일원에서
|
청도시화라이온스클럽이 지난 27일 여름 김장김치 100통을 어려운 이웃에게 전달해 달라며
|
대학/교육
영진전문대 동물보건과, 日서 현장수업···반려문화산업 체험 |
계명 문화대, ‘늘배움서포터즈’ 발대식 |
대구한의대, 제2회 반려동물행동지도사 국가자격시험 필기 고사장 운영 |
국립경국대 글로컬대학추진단, 국제백신연구소 안동분원 단기 인턴십 |
대구공업대 호텔외식조리계열, 떡제조기능사 특강 |
박동균 대구한의대 교수, "'한국형 공인탐정' 도입해야" |
계명대-도공 대구지부, 교통안전 강화 위한 협약 |
계명문화대, 태국 방콕직업교육원과 TVET 교육 교류 업무협약 |
대구한의대 평생교육원, 가산수피아와 파크골프 전문인력 양성 협약 |
국립경국대 글로컬대학추진단, 말레이시아 티드렉(TIDREC)과 ‘맞손’ |
칼럼
경주 원도심에는 오랜 세월을 함께해 온 두 동네가 있습니다. 바로 중부동과 황오동
|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
물길을 막으면 저항력이 생기고 부패하며 임계점에 도달하면 둑이 터진다. 인간의 길
|
대학/교육
영진전문대 동물보건과, 日서 현장수업···반려문화산업 체험 |
계명 문화대, ‘늘배움서포터즈’ 발대식 |
대구한의대, 제2회 반려동물행동지도사 국가자격시험 필기 고사장 운영 |
국립경국대 글로컬대학추진단, 국제백신연구소 안동분원 단기 인턴십 |
대구공업대 호텔외식조리계열, 떡제조기능사 특강 |
박동균 대구한의대 교수, "'한국형 공인탐정' 도입해야" |
계명대-도공 대구지부, 교통안전 강화 위한 협약 |
계명문화대, 태국 방콕직업교육원과 TVET 교육 교류 업무협약 |
대구한의대 평생교육원, 가산수피아와 파크골프 전문인력 양성 협약 |
국립경국대 글로컬대학추진단, 말레이시아 티드렉(TIDREC)과 ‘맞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