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안동시의회 전경. |
| 안동시의회가 29일 오후 2시, 안동문화예술의전당 국제회의장에서 ‘낙동강상류(영풍석포제련소~안동댐) 중금속 퇴적물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한다. 토론회는 낙동강과 안동댐 중금속 오염 문제를 근본적으로 진단하고, 실질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토론회는 안동시의회가 주최하고, 안동환경운동연합이 주관하며, 시민과 전문가 등 2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주제발표는 ▲최만식 충남대 교수의 ‘안동댐 상류 하천·호소 퇴적물의 중금속 오염원 기여도 및 독성’ ▲김영훈 국립경국대 교수의 ‘안동댐 중금속 오염 유입현황 및 용출 특성’으로 진행된다.
종합토론은 김수동 안동환경운동연합 이사장이 좌장을 맡으며, 시의회를 대표해 ▲손광영 의원(시의회 부의장)이 토론자로 참여하며 ▲신원식 교수(경북대 환경공학과), ▲손경식 사무국장(안동지속가능발전협의회) ▲이태규 회장(낙동강사랑환경보존회) ▲신기선 위원장(영풍제련소 봉화 주민대책위원회) ▲강호열 공동대표(낙동강 부산네트워크) 등이 토론자로 참여해한다.
김경도 의장은 인사말에서 “낙동강은 영남권 1,300만 주민의 생명 줄이자 후손에게 물려줄 소중한 자산이지만, 수십 년간 누적된 중금속 오염으로 심각한 위기에 놓여 있다”며, “정부 차원의 범부처 대응과 특별법 제정, 오염원에 대한 강력한 관리·감독, 그리고 국가적 차원의 정화·복원 로드맵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번 토론회가 단발적 논의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 정책 전환과 국가적 관심을 이끌어내는 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며 “시의회도 시민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끝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
|
사람들
안동 녹전 새마을부녀회가 최근 발생한 고추밭 절도 사건으로 상심을 겪은 관내 농가를 찾아
|
안동 풍산 괴정리 강신정(1939년생) 어르신이 지난 2일 120만 원을 풍산읍행정복지센
|
안동 녹전 새마을지도자협의회와 새마을부녀회가 지난 2일 경로당을 방문해 어르신께 커피믹스
|
바르게살기운동 점촌3동위원회가 지난 30일 회원 30여 명이 참여한 제초 작업 및 환경정
|
점촌3동 행정복지센터가 매월 ‘친절한 ㅇㅇ씨’(친절직원)를 선정하고 있으며, 9월에는 최
|
대학/교육
칼럼
구미나 안동이나 거리 차이뿐, 구조적 문제는 똑같다. 강물을 대량으로 끌고만 가는
|
경주 원도심에는 오랜 세월을 함께해 온 두 동네가 있습니다. 바로 중부동과 황오동
|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
대학/교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