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5-09-04 17:04:44

문학건달

김 시 종 시인
국제PEN클럽 한국본부 자문위원

세명일보 기자 / 입력 : 2019년 04월 04일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시 못 짓는 시인’, ‘노래 못하는 가수’는 한마디로 무용지물이다. 일제 치하에선 ‘시 못 짓는 시인’이 9할은 된 것 같다.
그들이 끼친 작품은 꿈속에서도 볼 수 없고, 형이하학적 기행(奇行)이나 폭음 주사(주벽)들이 얼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후인들이 인심이 후하여 ‘시 못 쓰는 시인’ 이름으로 문학상을 시상하고 있는데, 수상자인 후배시인들은 시작(詩作)을 게을리 하지 않아 선배시인들의 허물을 묻어주고 있다. 문학은 학문이 아니라 창작이기 때문에 필자는 ‘문학’으로 표기하지 않고, 즐겨 ‘문예’라는 용어를 선호한다.
오늘날 이 땅에 사는 사람들은 문과 교수를 문학가와 동일시하는 경우를 자주 본다. 문학 강의를 맡은 교수도 별 깨달음이 없이 교재에서 배운 대로 현실감각이 부족한 피상적인 평소 상식을, 자기가 깨달음을 얻은 양 아무 생각 없이 써먹고 있다.
우리나라 문예 분야 중 수필같이 엉성하게 조명된 분야도 없는 것 같다. 일반 교수를 한국의 수필대가로 흔히 꼽는 너 댓 사람은 필자가 인정할 수 없는 저력이 모자라는 화상들이 대부분이다.
영문학을 대학에서 전공하고 빵 꽤나 뀌는 외국 에세이를 흉내 낸다고 일류 수필가가 되는 게 아니다. 감동적인 수필가가 갖추어야 할 요소는 위트와 정서, 예술성이 꼭 있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평론가 중에서 가장 센스가 있었던 분은 현대문학 종신 주간을 한 조연현 교수님이다. 이상(1910-1937)을 시 ‘오감도’(1934년 작)와 소설 ‘날개’로 묶어 시인·소설가로 난해하게 조명하지만, 이상의 수필은 단연 현대문단의 백미다. ‘성천기행’과 ‘권태’에서 보여주는 날카로운 감각과 참신성은 한여름 폭염아래서도 시원하기만 하다. 이 땅의 참된 수필문학의 진수를 맛보고 싶으면 수필집 ‘권태’를 꼭 일독(一讀)하여 참된 수필과 만나시기를 간곡히 권고한다.
이은상(1903-1982)은 이 땅의 대표적 천재시조시인이지만, 수필가로서도 단연 독불장군이다. 일제 때 동생 이정상(배재고 재학생)이 항일독립운동을 하다가 용산 경찰서에 잡혀 고문을 당해 순국했다. 아우를 고문으로 잃게 된 아픈 형의 마음을 하룻밤 동안 기록한 일기(日記)가 이은상의 통한의 쾌저 ‘무상(無常)’이다. 일제치하 이 땅의 우국지사들이 필독한 전대미문의 베스트셀러이기도 한 것이다. 오늘을 보람 있게 살고자 하는 분들에게 ‘무상’을 꼭 읽고 마음의 평화를 누리시기를 권고한다.
의사며 수필가인 박문하(1918-1975)는 재밌게 수필을 쓸 줄 아는 멋쟁이 의사 수필가다. 독립운동 가문의 막내로 부산 밤거리에서 찹쌀떡을 팔던 소년가장 박문하는 조선의사 검정고시를 통과한 천재다. 몇 권의 수필집이 다 명작이 아닌 것이 없지만, 그의 ‘잃어버린 동화’를 읽으면, 칠십노옹의 뺨에도 느닷없이 뜨거운 것이 흐른다. 한국현대수필계의 제1인자로 박문하 선생을 자신 있게 천거한다. 좋은 수필가가 되고자 하는 분은 박문하 선생의 수필집 몇 권을 통효하면 보약이 될 것이다.
네 번째로 천상병시인의 영부인 목순옥(1935-2010) 여사를 옹골찬 수필가로 천거한다. 상주여고 출신이자 천상병 시인의 수호천사였던 목순옥의 수필집 ‘날개 잃은 새의 짝이 되어’는 내용도 감동적이지만 문장력과 미학도 특출하여 천상병 시인의 시심에 맑은 샘물이 되었다. 목순옥의 ‘날개 잃은 새의 짝이 되어’를 놓치지 않고 읽게 된 것도 신의 은총이 아닐 수 없다.
현존하는 수필가 중엔 여류 서경희 작가를 주목한다. 빼어난 두 권의 수필집을 낸 서경희 작가는 한국문인협회 문예대학의 수필교수로, 명강의를 속출하여 수강생들이 뿅 가고 있을뿐더러, 수강생들의 차후 창작행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서경희 작가는 정문문학상과 이은상문학상을 진작 수상하기도 했다. 한국수필계의 5걸을 필자가 문학생명을 걸고 선언한다. 좋은 수필가 이상, 이은상, 박문하, 목순옥, 서경희씨를 잠간 살펴본 것은 이 땅의 수필문학과 국민들을 아끼는 충정에서 필자의 본심을 서슴없이 만천하에 용기 있게 공개하는 것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사람들
경산 서상동 소재 대한불교조계종 미타사가 3일 경산시청을 찾아 백미(10kg) 100포를 
한국농어촌공사 경주지사는 지난 8월 26일과 9월 3일 두차례에 걸쳐 주거여건이 열악한  
성주 선남 신부리 소재 부강플랜트 공병석 대표가 ‘십시일반 프로젝트’에 성금 50만 원을 
성주 대가 지속가능발전협의회가 4일, 면소재지 일대 도로변의 생활쓰레기를 수거하는 환경정 
울진 북면이 지난 3일 지역 봉사자 55명이 총 출동해 북면내 해안 및 하천변에서 환경정 
대학/교육
영남이공대, 복학생 맞춤형 ‘웰컴 캠퍼스 적응 실전 가이드’ 운영  
호산대, 제2회 HSU 드림 JOB 페스타 성황리 ‘성료’  
DGIST, 암 진단 정확도 높이는 ‘동시 세포 분리 기술’ 임상 가능성 입증  
계명문화대, 외국인 유학생 입학식 ‘8개국 66명 새 출발’  
칠곡경북대병원, 심평원 유방암 적정성평가 ‘1등급 획득’  
대구대 김형진 실장, 일본 장애 전문서적 한국어판 출간  
대구보건대, 전문대 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A’ 80억 확보  
대구한의대 세대통합지원센터, 영덕 산불피해 이재민에 이불 100세트 기부  
계명대, '2026학년도 수시모집' 4,110명 선발  
대구한의대 코스메이커스페이스사업단,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자격시험‘ 대비 과정 운영  
칼럼
구미나 안동이나 거리 차이뿐, 구조적 문제는 똑같다. 강물을 대량으로 끌고만 가는 
경주 원도심에는 오랜 세월을 함께해 온 두 동네가 있습니다. 바로 중부동과 황오동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대학/교육
영남이공대, 복학생 맞춤형 ‘웰컴 캠퍼스 적응 실전 가이드’ 운영  
호산대, 제2회 HSU 드림 JOB 페스타 성황리 ‘성료’  
DGIST, 암 진단 정확도 높이는 ‘동시 세포 분리 기술’ 임상 가능성 입증  
계명문화대, 외국인 유학생 입학식 ‘8개국 66명 새 출발’  
칠곡경북대병원, 심평원 유방암 적정성평가 ‘1등급 획득’  
대구대 김형진 실장, 일본 장애 전문서적 한국어판 출간  
대구보건대, 전문대 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A’ 80억 확보  
대구한의대 세대통합지원센터, 영덕 산불피해 이재민에 이불 100세트 기부  
계명대, '2026학년도 수시모집' 4,110명 선발  
대구한의대 코스메이커스페이스사업단,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자격시험‘ 대비 과정 운영  
제호 : 세명일보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 223-59 (마지락길 3) / 대표전화 : 054-901-2000 / 팩스 : 054-901-3535
등록번호 : 경북 아00402 / 등록일 : 2016년 6월 22일 / 발행인·편집인 : 김창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창원 / mail : smnews123@hanmail.net
세명일보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세명일보 All Rights Reserved.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수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