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5-09-04 16:51:31

하회마을·병산서원, 얼굴이 가린다

김 휘 태
안동시 공무원

세명일보 기자 / 입력 : 2019년 06월 04일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하회마을과 병산서원은 낙동강과 절벽의 산수가 어우러져 천혜의 비경을 자아낸다. 강은 푸른 물결과 하얀 모래가 앙상블을 이루어 맑은 영혼을 불러오는 신비를 창조한다.
태극으로 굽이친 백사장은 신이 창조한 하회탈의 미소 짓는 얼굴이다. 만송정과 백사장이 낭만과 시를 불러온다면 만대루와 백사장은 운치와 기를 불러오는 신의 조화가 경이롭다.
이렇게 아름다운 백사장이 1975년 댐 건설 후에 강물의 흐름이 줄어들면서 모래밭이 진흙으로 바뀌고 버드나무와 풀이 무성한 숲으로 변해가고 있다. 이제는 모래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빠르게 숲이 확산되고 있다.
병산서원 앞은 밀림처럼 우거지고 하회마을과 부용대 아래에도 드넓은 백사장이 푸른 숲으로 뒤덮이고 있다. 몇 해 지나지 않아서 밀림 같이 우거지게 되면 하회마을과 병산서원의 병풍 같은 자연경관이 여지없이 묻혀버릴 것 같다.
댐으로 인한 강의 육지화는 이미 다 알고 있는 부작용이다.
하지만 댐의 순기능을 갑자기 파괴할 수도 없는 현실을 감안하면 하회마을과 병산서원의 백사장을 해수욕장 같이 인공모래밭으로 유지되도록 특단의 대책을 강구해야 될 것으로 생각한다. 숲이 너무 우거지기 전에 하루빨리 모래밭을 일구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장기적으로는 물 관리가 친환경적으로 개선되어 지상저수지로 대체하고 댐을 해체하여 모래가 반짝거리는 자연의 강으로 되살아 나기를 기대해본다.
안동댐의 저수량 12억 톤과 임하댐 6억 톤을 산이나 들에 분산하여 저장하면 자연유하로 농업에 이용할 수 있고, 전 국토에 골고루 지하수가 스며들며, 작은 도랑에도 사시사철 물이 흘러서 물고기와 수초가 살아가는 자연생태계가 되살아날 것이다.
이렇게 친환경 치수사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선진국 사례와 같이 댐을 철거하고 강을 재자연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언젠가는 반드시 그렇게 되어야 자손만대가 삼천리금수강산에서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하회마을과 병산서원 경관구역 외의 바로 하류에 구담습지 같은 경우는 자연습지로서 생태계의 보고가 더욱 활기 있게 번성해나갈 수 있도록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친환경적이다. 홍수 걱정에 지금 습지를 걷어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의견도 있지만 정답이 아니다.
습지를 준설해도 몇 년 못가서 다시 우거진다. 왜냐하면 댐이 있는 한 강물은 많이 흐르지 않기 때문이다. 지금 이대로도 홍수가 나지 않도록 제방을 보강하고 물길정비도 하여 수질개선에도 큰 도움이 된다.
향후에 댐이 철거되고 강이 재자연화 되면 습지도 자연적으로 변화된다. 그 생명들이 모두다 자연에 적응하며 살아갈 수 있게 된다.
혹자는 강을 강답게 만들어야지 강에 왜 습지를 그냥 두느냐고 반문하지만, 강을 강답게 만드는 방법은 강물이 흐르게 해야지 습지 없앤다고 자연의 강이 되는 것은 전혀 아니다. 그리고 강은 일부분 습지를 품고 있다는 것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옛날에는 홍수가 범람하니까 댐을 건설했지만 지금은 제방을 쌓고 준설을 하여 댐을 철거하면 백사장이 반짝거리는 자연의 강으로 되살아나면서 홍수도 막을 수 있다.
산이나 지상에 18억 톤의 저수지가 저류조 역할을 하게 되면 빗물이 한꺼번에 휩쓸려 내려오지 않는다.
그리고 물 순환도시도 전국으로 확산되어 빗물을 분산ㆍ흡수시키므로 그만큼 홍수발생이 줄어들게 된다.
한마디로 말하면 치수방법이 과학적이고 친환경적으로 바뀌고 있으므로, 강을 재자연화 해도 홍수와 가뭄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세계문화유산에 빛나는 하회마을과 병산서원의 낙동강 백사장은 고결한 선비의 모습이 아닌가?
백옥 같이 푸른 물결은 청빈한 선비의 정신이요 추상같은 병풍절벽은 선비의 기개가 아니던가?
이러한 낙동강이 자연적으로 되살아나야 우리의 역사와 문화도 溫故而知新으로 더욱 아름답게 꽃피워나갈 수 있다는 것을 되새겨볼 때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사람들
경산 서상동 소재 대한불교조계종 미타사가 3일 경산시청을 찾아 백미(10kg) 100포를 
한국농어촌공사 경주지사는 지난 8월 26일과 9월 3일 두차례에 걸쳐 주거여건이 열악한  
성주 선남 신부리 소재 부강플랜트 공병석 대표가 ‘십시일반 프로젝트’에 성금 50만 원을 
성주 대가 지속가능발전협의회가 4일, 면소재지 일대 도로변의 생활쓰레기를 수거하는 환경정 
울진 북면이 지난 3일 지역 봉사자 55명이 총 출동해 북면내 해안 및 하천변에서 환경정 
대학/교육
영남이공대, 복학생 맞춤형 ‘웰컴 캠퍼스 적응 실전 가이드’ 운영  
호산대, 제2회 HSU 드림 JOB 페스타 성황리 ‘성료’  
DGIST, 암 진단 정확도 높이는 ‘동시 세포 분리 기술’ 임상 가능성 입증  
계명문화대, 외국인 유학생 입학식 ‘8개국 66명 새 출발’  
칠곡경북대병원, 심평원 유방암 적정성평가 ‘1등급 획득’  
대구대 김형진 실장, 일본 장애 전문서적 한국어판 출간  
대구보건대, 전문대 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A’ 80억 확보  
대구한의대 세대통합지원센터, 영덕 산불피해 이재민에 이불 100세트 기부  
계명대, '2026학년도 수시모집' 4,110명 선발  
대구한의대 코스메이커스페이스사업단,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자격시험‘ 대비 과정 운영  
칼럼
구미나 안동이나 거리 차이뿐, 구조적 문제는 똑같다. 강물을 대량으로 끌고만 가는 
경주 원도심에는 오랜 세월을 함께해 온 두 동네가 있습니다. 바로 중부동과 황오동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대학/교육
영남이공대, 복학생 맞춤형 ‘웰컴 캠퍼스 적응 실전 가이드’ 운영  
호산대, 제2회 HSU 드림 JOB 페스타 성황리 ‘성료’  
DGIST, 암 진단 정확도 높이는 ‘동시 세포 분리 기술’ 임상 가능성 입증  
계명문화대, 외국인 유학생 입학식 ‘8개국 66명 새 출발’  
칠곡경북대병원, 심평원 유방암 적정성평가 ‘1등급 획득’  
대구대 김형진 실장, 일본 장애 전문서적 한국어판 출간  
대구보건대, 전문대 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A’ 80억 확보  
대구한의대 세대통합지원센터, 영덕 산불피해 이재민에 이불 100세트 기부  
계명대, '2026학년도 수시모집' 4,110명 선발  
대구한의대 코스메이커스페이스사업단,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자격시험‘ 대비 과정 운영  
제호 : 세명일보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 223-59 (마지락길 3) / 대표전화 : 054-901-2000 / 팩스 : 054-901-3535
등록번호 : 경북 아00402 / 등록일 : 2016년 6월 22일 / 발행인·편집인 : 김창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창원 / mail : smnews123@hanmail.net
세명일보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세명일보 All Rights Reserved.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수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