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5-09-04 16:55:59

편 견

김 시 종 시 인
국제PEN클럽 한국본부 자문위원

세명일보 기자 / 입력 : 2019년 06월 17일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시인(詩人)이라면 시를 잘 짓는 시전문가를 일컫는 말임에도 사람들은 곧잘 시인을 술꾼과 동일시(同一視)하고 있다. 시인이라면 술고래를 떠올리게 된 데는 이태백에게 죄가 있다. 예나 지금이나 시인은 시창작만으론 그리 돈벌이가 신통하지 못하다. 그래서 고픈 배를 채우기 위해 막걸리라도 맹렬히 마셔 빈 배를 채우게 되어 시인이 술고래로 통하게 되었다고 상정(想定)해 본다.
“자네의 시를 많이 보지는 못했지만 술 한 잔도 못하니 시가 별 볼이 없을 것 같네. 이태백도 말술을 예사로 마셨고 공초 오상순도 술, 담배가 수준급 아니던가?”
이렇게 말하는 사람들에겐 아무리 시와 술이 인과 관계가 없다고 장황히 설명해도 내 말을 귀담아 들을 리 없고 자기주장만 계속 우길 뿐이다.
한 번은 시인들의 큰 모임이 있어서 시창작과 음주와의 상관관계를 이야기했더니, 대부분의 시인들이 술 먹고 지은 시는 이튿날 깨고 보면 말도 되지 않아 전면개작(全面改作)하거나 아낌없이 파기한다고 했다.
시인들의 회의에서 술을 먹어야 시를 잘 짓는다는 일반인들의 생각이 편견임을 공식적으로 확인한 셈이다.
우리나라의 주호(酒豪)시인 공초 오상순은 모든 사람들이 잘 아는 대로, 술만 먹고 소일하여 시작품이 별로 없는 시 안 짓는 시인으로 유명하다. 주벽과 기행(奇行)은 술꾼의 할 일이지 시인과는 무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문인들 중에 뛰어난 문인들은 술을 입에도 안대고, 창작에 전념하여 훌륭한 성과를 거두었다.
현대시조의 제1인자 노산 이은상 선생이 그렇고 한국 시론(詩論)의 제1인자인 문덕수 선생이 그렇다.
수필문학의 대가 정재호 선생도 술은 말할 것도 없고 음료수조차 입에 대지 않는다. 요즘은 시인도 정상적인 생활인이기를 사회가 바라고 있다. 시인으로서 꼭 필요한 것은 음주보다는 오히려 여행 쪽이라 생각한다. 나는 시간이 있을 때마다 버스나 기차를 자주 탄다. 자고 오는 경우는 거의 없고, 짧은 시간이지만 나들이를 자주 한다. 여행을 통해서 사람들의 부지런히 사는 모습, 참되게 사는 모습을 본다. 이러한 여행에서 목격한 것이 곧바로 시 창작으로 이어진다. 내 시(詩)들 가운데는 안방에서 지은 것보다 흔들리는 버스가 산실(産室)인 것이 많고 길가다 즉흥적으로 지은 것이 명시(名詩)로 평가를 받고 있다.
올 상반기에도 서울, 대구, 강릉, 안동 등지를 다녀왔다. 내 시편들 중에 ‘외팔이 춘희’, ‘도로고’, ‘낙법’, ‘고향’등 일일이 셀 수 없을 만큼 거리가 고향인 현장에서 지은 문제작이 많다.
나는 앞으로도 해가 서쪽에서 떠오르는 이변이 일어나도 술잔을 멀리하고 지금처럼 부담스럽지 않은 미니여행을 자주하여 현장감이 넘치는 시를 계속 지을 작정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사람들
경산 서상동 소재 대한불교조계종 미타사가 3일 경산시청을 찾아 백미(10kg) 100포를 
한국농어촌공사 경주지사는 지난 8월 26일과 9월 3일 두차례에 걸쳐 주거여건이 열악한  
성주 선남 신부리 소재 부강플랜트 공병석 대표가 ‘십시일반 프로젝트’에 성금 50만 원을 
성주 대가 지속가능발전협의회가 4일, 면소재지 일대 도로변의 생활쓰레기를 수거하는 환경정 
울진 북면이 지난 3일 지역 봉사자 55명이 총 출동해 북면내 해안 및 하천변에서 환경정 
대학/교육
영남이공대, 복학생 맞춤형 ‘웰컴 캠퍼스 적응 실전 가이드’ 운영  
호산대, 제2회 HSU 드림 JOB 페스타 성황리 ‘성료’  
DGIST, 암 진단 정확도 높이는 ‘동시 세포 분리 기술’ 임상 가능성 입증  
계명문화대, 외국인 유학생 입학식 ‘8개국 66명 새 출발’  
칠곡경북대병원, 심평원 유방암 적정성평가 ‘1등급 획득’  
대구대 김형진 실장, 일본 장애 전문서적 한국어판 출간  
대구보건대, 전문대 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A’ 80억 확보  
대구한의대 세대통합지원센터, 영덕 산불피해 이재민에 이불 100세트 기부  
계명대, '2026학년도 수시모집' 4,110명 선발  
대구한의대 코스메이커스페이스사업단,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자격시험‘ 대비 과정 운영  
칼럼
구미나 안동이나 거리 차이뿐, 구조적 문제는 똑같다. 강물을 대량으로 끌고만 가는 
경주 원도심에는 오랜 세월을 함께해 온 두 동네가 있습니다. 바로 중부동과 황오동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대학/교육
영남이공대, 복학생 맞춤형 ‘웰컴 캠퍼스 적응 실전 가이드’ 운영  
호산대, 제2회 HSU 드림 JOB 페스타 성황리 ‘성료’  
DGIST, 암 진단 정확도 높이는 ‘동시 세포 분리 기술’ 임상 가능성 입증  
계명문화대, 외국인 유학생 입학식 ‘8개국 66명 새 출발’  
칠곡경북대병원, 심평원 유방암 적정성평가 ‘1등급 획득’  
대구대 김형진 실장, 일본 장애 전문서적 한국어판 출간  
대구보건대, 전문대 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A’ 80억 확보  
대구한의대 세대통합지원센터, 영덕 산불피해 이재민에 이불 100세트 기부  
계명대, '2026학년도 수시모집' 4,110명 선발  
대구한의대 코스메이커스페이스사업단,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자격시험‘ 대비 과정 운영  
제호 : 세명일보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 223-59 (마지락길 3) / 대표전화 : 054-901-2000 / 팩스 : 054-901-3535
등록번호 : 경북 아00402 / 등록일 : 2016년 6월 22일 / 발행인·편집인 : 김창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창원 / mail : smnews123@hanmail.net
세명일보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세명일보 All Rights Reserved.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수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