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5-09-04 17:06:13

천지송(天地頌)

김 시 종 시인·자문위원
국제PEN클럽 한국본부

세명일보 기자 / 입력 : 2019년 08월 29일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우리나라 여름은 화끈하게 더워 벼농사를 잘되게 해 이밥(쌀밥)을 배불리 먹고 건강하게 살 수 있다. 내가 말이야 그럴듯하게 하지만 솔직히 말해서 가장 더운 달인 8월을 지내느라고 몸에 발진이 돋고, 입술과 코 밑이 헐고 경을 치렀다. 나는 천성이 시인이 되어 시집을 읽으면서 더위를 달랬다.
운 좋게 손에 잡힌 시집이 ‘가고파’(이은상)였다. 시집 ‘가고파’를 읽다가 명시 ‘천지송(天地頌)’이 내 눈길을 사고 잡았다. 우리 인생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만남이다. 젊어서 좋은 사람을 만나면 감명을 받아 쓸모 있는 인격자가 되고 어려서 좋은 책을 만나 감동을 받으면 문사(文士)도 되고 대학자도 될 수 있다.
필자는 20대 초반에 문재(文才)와 학덕(學德)을 다 갖추신 노산 이은상선생님과 뜻 깊은 만남이 이루어져 한생을 시와 수필을 지어 시집 42권을 펴내고 수필집도 4권을 펴내 좋은 평판을 받고 있다.
노산 이은상 선생님은 80세 되시던 1982년 가을에 긴 잠에 드셔서 서울 국립현충원 명사묘역에 모셔졌다. 생전에 노산 이은상스승님을 가까이 여러 차례 대면할 수 있던 것이 지금 생각하면 큰 행운이라 생각하고 깊이 감사드린다.
노산 이은상 선생님께서는 천하대문장(天下大文章)으로, 저의 김시종 첫 시집 ‘오뉘’의 머리말을 내려 주셔서, 김시종 첫 시집은 머리말 하나만 해도 주요시집이 되고 남는다. 이은상 선생님은 제 둘째 시집 ‘청시(靑枾)’와 셋째시집 ‘불가사리’ 제목 글자(제자)를 직접 써주셨다. 이은상선생님은 대천재(大天才)요, 대문호(大文豪)로 시(시조)도 몇 백편의 명시(名詩)를 남기고, 장편 수필집 ‘무상(無常)’은 한국수필의 대표작이기도 하고, 국문학·사학논문도 남들이 흉내도 못 낼 만큼 기발하고 흥미 만점이다.
이은상 선생님의 명시 보물창고에서 가장 빛나는 대표작 ‘천지송’을 꺼내 애독자 제현과 같이 살펴볼까나?
천지송(天地頌) / 이은상(李殷相)

보라 저 울멍줄멍  높고 낮은 산줄기들
제마다 제 자리에  조용히 엎드렸다.
산과 물  어느 한 가지도 함부로 된 것 아니로구나.

황금 방울같이  노오란 저녁해가
홍비단 무늬 속에 수를 놓고 있다.
저기 저  구름 한 장도  함부로 된 것 아니로구나.

지금 저 들 밖에 / 밀려오는 고요한 황혼
오늘밤도 온 하늘에 / 보석별들이 반짝이리
그렇다  천지 자연이 함부로 된 것 아니로구나.
1933. 5. 10. 동아일보 게재

<덧말> 발표 당시 서울 시내 큰 교회 목사님이 주일 낮 예배 설교시간에 낭독해, 우레 같은 성도들의 박수가 쏟아졌다고 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사람들
경산 서상동 소재 대한불교조계종 미타사가 3일 경산시청을 찾아 백미(10kg) 100포를 
한국농어촌공사 경주지사는 지난 8월 26일과 9월 3일 두차례에 걸쳐 주거여건이 열악한  
성주 선남 신부리 소재 부강플랜트 공병석 대표가 ‘십시일반 프로젝트’에 성금 50만 원을 
성주 대가 지속가능발전협의회가 4일, 면소재지 일대 도로변의 생활쓰레기를 수거하는 환경정 
울진 북면이 지난 3일 지역 봉사자 55명이 총 출동해 북면내 해안 및 하천변에서 환경정 
대학/교육
영남이공대, 복학생 맞춤형 ‘웰컴 캠퍼스 적응 실전 가이드’ 운영  
호산대, 제2회 HSU 드림 JOB 페스타 성황리 ‘성료’  
DGIST, 암 진단 정확도 높이는 ‘동시 세포 분리 기술’ 임상 가능성 입증  
계명문화대, 외국인 유학생 입학식 ‘8개국 66명 새 출발’  
칠곡경북대병원, 심평원 유방암 적정성평가 ‘1등급 획득’  
대구대 김형진 실장, 일본 장애 전문서적 한국어판 출간  
대구보건대, 전문대 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A’ 80억 확보  
대구한의대 세대통합지원센터, 영덕 산불피해 이재민에 이불 100세트 기부  
계명대, '2026학년도 수시모집' 4,110명 선발  
대구한의대 코스메이커스페이스사업단,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자격시험‘ 대비 과정 운영  
칼럼
구미나 안동이나 거리 차이뿐, 구조적 문제는 똑같다. 강물을 대량으로 끌고만 가는 
경주 원도심에는 오랜 세월을 함께해 온 두 동네가 있습니다. 바로 중부동과 황오동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대학/교육
영남이공대, 복학생 맞춤형 ‘웰컴 캠퍼스 적응 실전 가이드’ 운영  
호산대, 제2회 HSU 드림 JOB 페스타 성황리 ‘성료’  
DGIST, 암 진단 정확도 높이는 ‘동시 세포 분리 기술’ 임상 가능성 입증  
계명문화대, 외국인 유학생 입학식 ‘8개국 66명 새 출발’  
칠곡경북대병원, 심평원 유방암 적정성평가 ‘1등급 획득’  
대구대 김형진 실장, 일본 장애 전문서적 한국어판 출간  
대구보건대, 전문대 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A’ 80억 확보  
대구한의대 세대통합지원센터, 영덕 산불피해 이재민에 이불 100세트 기부  
계명대, '2026학년도 수시모집' 4,110명 선발  
대구한의대 코스메이커스페이스사업단,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자격시험‘ 대비 과정 운영  
제호 : 세명일보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 223-59 (마지락길 3) / 대표전화 : 054-901-2000 / 팩스 : 054-901-3535
등록번호 : 경북 아00402 / 등록일 : 2016년 6월 22일 / 발행인·편집인 : 김창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창원 / mail : smnews123@hanmail.net
세명일보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세명일보 All Rights Reserved.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수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