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박물관은 국립민속박물관과 함께 지난 3일부터 오는 11월 24일까지 ‘언론인 예용해, 민속 문화의 가치를 일깨우다’ 공동기획전을 연다.
청도군 이서면 대전리에서 태어난 예용해芮庸海(1929~1995) 선생은 1960년대 전통문화가 외면 받던 시기에 ‘인간문화재’라는 용어를 처음 만들었고, 민속문화의 연구와 보존 그리고 제도 확립에 큰 족적을 남겼다.
3부로 구성된 이번 전시회는 청도군 이서면 대전리에서 태어난 언론인이자 민속 문화연구자인 예용해(1929~1995) 선생의 발자취를 그의 수집품과 글로 더듬어보는 자리다.
곱돌·대리석·화강암·옥석 등 다양한 종류의 돌을 소재로 만든 연초함, 화로, 복숭아·거북이·매화 등 다양한 형태의 표주박, 옛 선비들이 소중하게 여겼던 붓과 벼루 등 60여 점의 민속공예품이 선생의 글과 함께 선보인다.
1부는 평생을 언론인으로, 민속 문화연구자로 살아온 예용해 선생의 인생 여정을 다양한 전시자료와 평소 애장품으로 삶의 흔적을 실감이 나게 느낄 수 있으며 육필원고와 선생의 글이 게재된 월간지 ‘뿌리 깊은 나무’를 비롯해 원고를 쓸 때 사용했던 ‘서안’, 한국일보 문화부 기자로 활동하던 시기의 ‘취재수첩’등도 소개된다.
2부에서는 세상에서 잊혀가는 장인들을 찾아 전국을 누비는 여정을 지난 1960년부터 1962년까지 총 50회에 걸쳐 한국일보에 연재한 ‘인간문화재’ 중 1960년 7월10일, 한국일보에 처음 게재된 ‘나전칠기 김봉룡’ 편과 1962년 11월30일에 마지막으로 게재된 ‘패물장 김석창’의 기사를 접할 수 있다.
3부는 '예용해 선생의 미감을 느껴보다'에서는 민속의 현장을 누비면서 탁월한 식견과 남다른 안목으로 수집한 민속공예품을 선생의 글과 함께 소개하고 있다. 선생이 수집한 민속공예품은 의식주 등 생활의 전 영역에 걸쳐 있다.
그 가운데에서도 곱돌, 대리석, 화강암, 옥석 등 다양한 종류의 돌을 소재로 만든 공예품이 눈길을 끈다. 선생의 민속공예품은 아들(예병민)에 의해 국립민속박물관을 고려대학교박물관, 서울공예박물관 등을 비롯해 여러 박물관에 기증돼 보존되고 있다.
이승율 청도군수는 " 앞으로도 청도박물관은 유물 위주의 전시에서 벗어나 출향 인물들을 재조명해 보는 전시를 통해 우리 지역문화의 새로운 문화 토대를 다지는 계기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제호 : 세명일보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 223-59 (마지락길 3) / 대표전화 : 054-901-2000 / 팩스 : 054-901-3535 등록번호 : 경북 아00402 / 등록일 : 2016년 6월 22일 / 발행인·편집인 : 김창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창원 / mail : smnews123@hanmail.net
세명일보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세명일보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