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가 국가 인프라 지능 정보화 공모사업에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시는 지난해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ICT 기금사업으로 시행한 ‘2019년 국가 인프라 지능 정보화 공모사업’에 선정된 바 있다. 1차년도 사업을성공적으로 완료하고 평가 결과 우수 시범사업으로 선정돼 올해도 2년 연속으로 사업을 계속하게 됐다.
이번 선정으로 총 25억8천 원을 지방자치단체 예산 부담금 없이 전액 국비 출연금으로 지원받아 공동구 안전관리서비스 사업을 마무리할 수 있게됐다.
지난해는 공모사업비 13억2천만 원을 지원받아 지하 공동구 1.5㎞ 구간에광케이블 및 광센서 100개를 설치하고, 안전관리 시스템을 개발·구축해 일부 구간 안전관리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올해에도 공모사업비 12억6천만원을 지원받아 잔여구간 1.75㎞에 광케이블 포설 및 센서를 설치하게 된다.
안동·예천 지하 공동구는 국가 주요 시설의 하나로 지하 3.25㎞ 구간에상수도, 전력선로, 통신(kt, SK, LG, CJ) 4개사 선로가 수용돼 있다. 중요한시설인 만큼 안전재난 사고 대응 체계 마련을 위해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인클라우드, 빅데이터, 인공지능, 디지털 트윈 기술들을 접목한 지하 공동구 지능형 이상 탐지 및 안전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을 추진하게 된 것이다.
재난·재해 상황 발생 시 지하 공동구 구조물에 발생할 수 있는 온도상승, 침수, 균열 등의 환경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후 발생할 수 있는상황 예측체계를 확립할 수 있도록 지하공동구 내 5종의 광센서를 설치했다.
광센서를 통해 구조물에서 실시간, 대용량 데이터를 빅데이터 플랫폼 통해 안정적으로 수집, 이를 분석하고 기계 학습해 시설물 상태에 대한 이상 발생 시 공동구 담당자에게 즉시 문자가 전송되며, 화재 발생 시에도인근 소방서에 상황을 전파하는 안전관리 서비스이다
시는 “지하 공동구 재난안전관리 서비스의 도입을 통해 현재의 운영관리 비용을 30% 이상 절감하고, 현장 점검과 보고서 작성이 자동화돼 점검 업무시간을 50% 이상 단축하는 등 인력의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며 “이러한 지능정보 기술의 실증으로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안동시의 이미지 제고와 함께 이번 사업을 통해 향후 국가 인프라 지능정보화사업의 지속적인 수주와 교량, 터널 등 안전관리가 필요한 주요 국가 시설물 대상으로 확대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기대한다”고 말했다.
제호 : 세명일보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 223-59 (마지락길 3) / 대표전화 : 054-901-2000 / 팩스 : 054-901-3535 등록번호 : 경북 아00402 / 등록일 : 2016년 6월 22일 / 발행인·편집인 : 김창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창원 / mail : smnews123@hanmail.net
세명일보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세명일보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