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5-09-06 02:50:57

와각지쟁(蝸角之爭)

배 해 주
수필가

세명일보 기자 / 입력 : 2020년 02월 23일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달팽이 蝸.  뿔 角.  갈 之.  다툴 爭
달팽이 뿔 위에서의 싸움이란 뜻이다. 하찮은 일로 승강이를 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서 장자의 측양편에 실려있으며 와우각상(蝸牛角上), 와우지쟁(蝸牛之爭)이란 말로도 쓰인다.
전국시대 양(梁)나라 혜왕(惠王)은 중신들과 맹약을 깬 제(齊)나라 위왕(威王)에 대한 응징책을 논의했으나 의견이 분분했다. 그래서 혜왕은 재상 혜자(惠子)가 데려온 대진인(戴晉人)에게 의견을 물었다. 대진인은 현인(賢人)으로 도교를 믿고 닦는 사람답게 이렇게 물었다.
“전하, 달팽이라는 미물이 있사온데 그것을 아십니까?”라고 하자 “물론, 알고 있소”, “그 달팽이의 왼쪽 촉각 위에는 촉씨(觸氏)라는 자가, 오른쪽 위에는 만씨(蠻氏)라는 자가 각기 나라를 세우고 있었습니다. 어느 날 그들은 서로 영토를 다투어 전쟁을 시작했는데 죽은 자가 수만 명에 이르고 도망가는 적을 추격한 지 보름 만에 전쟁을 멈추었습니다”, “그런 엉터리 이야기가 어디 있소?”, “하면, 이 이야기를 사실에 비유해 보겠습니다. 전하, 이 우주 천지에 제한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아니, 끝이 있다고는 생각지 않소”, “하면, 마음을 그 무궁한 세계에 노닐게 하는 사람이 왕래하는 지상의 나라 따위는 있는 것도 같고 없는 것도 같은 하찮은 것이라고 할 수 있사옵니다”, “으음, 과연”, “그 나라들 가운데 위라는 나라가 있고, 위나라 안에 대량이라는 도읍이 있고, 그 도읍의 궁궐 안에 전하가 계시옵니다. 이렇듯 광활한 우주에 비하면, 지금 제나라와 전쟁을 시작하시려는 전하와 달팽이 촉각 위의 촉씨·만씨가 싸우는 것과 무슨 차이가 있습니까?”, “과연, 별 차이가 없는 것 같소”
대진인이 물러가자 제나라와 싸울 마음이 없어진 혜왕은 혜자에게 힘없이 말했다.
“그 사람은 성인(聖人)도 미치지 못할 대단한 인물이오”라고 했다는 데서 유래한 말이다.
우리가 속해 있는 우주는 그 크기가 얼마인지 형용할 수 없다. 그 속에서 태양계는 아주 작은 별들의 집합체에 불가하다. 태양계 안에서 지구는 아주 작은 하나의 별이다. 이런 지구에서 대한민국이라는 나라는 어디에 있는지 한참을 찾아야 찾을 수 있다. 이렇듯 작은 땅에서 남북이 나누어져 있다. 그 안에서 남쪽에만 영호남이 갈라져 있고, 지역별로 다툼이 상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더 가슴 아픈 것은 달팽이 뿔 위와 같은 작은 나라에서 벌어지고 있는 진보와 보수의 싸움이다. 그 싸움은 지역도 없고 남녀노소도 없다. 사람이 있는 곳에는 어디든 존재하고 있다.
인구 2만도 안되는 작은 군 단위에도 예외가 없다. 몇 사람만 모여도 편이 갈라지고 의견이 충돌한다. 공산주의가 아닌 이상 사람이 사는 곳에 어떤 사안에 대해 완벽한 일치란 있을 수 없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그 골이 너무 깊어 가고 있다는 것이다. 자기주장이 너무 강하고 타인을 배려하는데 한치의 예외가 없다. 이런 불합리한 것들을 시간이 길어도 그리고 힘들어도 언젠가는 고치고 바꿔야 한다. 이것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 길은 꾸준한 교육을 통해서 해결되어야 하는데, 그 교육마저도 정권이 바뀔 때마다, 좌충우돌하고 있으니 어디서부터 무엇을 어떻게 해야 실타래처럼 꼬인 세상을 풀어 갈 수 있을지?
정권을 잡은 위정자는 보수 쪽이나 진보 쪽이나 국민 통합을 입에 달 듯 외치고 있지만, 그 실천은 미미하다. 아니 안중에 없다, 달팽이 뿔 위에서 싸움을 그만하고, 대의를 생각해서 자신을 내려놓은 방하착(放下著)의 정신이 아쉽기만 하다.
올해에는 부디 틀림만을 고집하지 말고 다름을 인정하는 너그러운 한해이길 소망해 본다.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사람들
경산 서상동 소재 대한불교조계종 미타사가 3일 경산시청을 찾아 백미(10kg) 100포를 
한국농어촌공사 경주지사는 지난 8월 26일과 9월 3일 두차례에 걸쳐 주거여건이 열악한  
성주 선남 신부리 소재 부강플랜트 공병석 대표가 ‘십시일반 프로젝트’에 성금 50만 원을 
성주 대가 지속가능발전협의회가 4일, 면소재지 일대 도로변의 생활쓰레기를 수거하는 환경정 
울진 북면이 지난 3일 지역 봉사자 55명이 총 출동해 북면내 해안 및 하천변에서 환경정 
대학/교육
대구가톨릭대, 학생 1인당 장학금 지급액 대형 대학 중 ‘전국 1위’  
DGIST, 창립 21주년 기념식 융합교육 성과 입증  
대구한의대 중등특수교육과, 제15회 학술제·제17회 소크라테스 선서식 ‘성료’  
영남이공대, 복학생 맞춤형 ‘웰컴 캠퍼스 적응 실전 가이드’ 운영  
호산대, 제2회 HSU 드림 JOB 페스타 성황리 ‘성료’  
DGIST, 암 진단 정확도 높이는 ‘동시 세포 분리 기술’ 임상 가능성 입증  
계명문화대, 외국인 유학생 입학식 ‘8개국 66명 새 출발’  
칠곡경북대병원, 심평원 유방암 적정성평가 ‘1등급 획득’  
대구대 김형진 실장, 일본 장애 전문서적 한국어판 출간  
대구보건대, 전문대 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A’ 80억 확보  
칼럼
구미나 안동이나 거리 차이뿐, 구조적 문제는 똑같다. 강물을 대량으로 끌고만 가는 
경주 원도심에는 오랜 세월을 함께해 온 두 동네가 있습니다. 바로 중부동과 황오동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대학/교육
대구가톨릭대, 학생 1인당 장학금 지급액 대형 대학 중 ‘전국 1위’  
DGIST, 창립 21주년 기념식 융합교육 성과 입증  
대구한의대 중등특수교육과, 제15회 학술제·제17회 소크라테스 선서식 ‘성료’  
영남이공대, 복학생 맞춤형 ‘웰컴 캠퍼스 적응 실전 가이드’ 운영  
호산대, 제2회 HSU 드림 JOB 페스타 성황리 ‘성료’  
DGIST, 암 진단 정확도 높이는 ‘동시 세포 분리 기술’ 임상 가능성 입증  
계명문화대, 외국인 유학생 입학식 ‘8개국 66명 새 출발’  
칠곡경북대병원, 심평원 유방암 적정성평가 ‘1등급 획득’  
대구대 김형진 실장, 일본 장애 전문서적 한국어판 출간  
대구보건대, 전문대 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A’ 80억 확보  
제호 : 세명일보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 223-59 (마지락길 3) / 대표전화 : 054-901-2000 / 팩스 : 054-901-3535
등록번호 : 경북 아00402 / 등록일 : 2016년 6월 22일 / 발행인·편집인 : 김창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창원 / mail : smnews123@hanmail.net
세명일보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세명일보 All Rights Reserved.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수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