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가 지난 2019년 12월 시청 대회의실에서 ‘공공기관 지방이전을 통한 경주시 발전방안’ 토론회 개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경주시 제공> |
| 정부가 수도권 소재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경주시도 정부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며 공공기관 유치에 본격 나선다. 노무현 정부가 수도권 소재 153개 공공기관 이전을 골자로 한 11개 광역시·도에 혁신도시 10곳을 확정한 이후 10여년 만에 이른바 ‘혁신도시 시즌2’가 논의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수도권에 본사를 둔 공공기관은 360여 곳으로, 이들 가운데 100곳에서 150곳 정도가 이전대상에 오를 것으로 경주시는 파악하고 있다. 이런 사정을 감안해 경주시는 지역발전의 신성장 동력 확보의 일환으로 ‘경주 공공기관 이전 지역발전 전략’이라는 주제로 오는 16일 시청 알천홀에서 포럼을 개최한다. 이날 포럼에는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김사열 위원장이 직접 경주를 찾아 지역균형뉴딜사업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기조 연설자로 나선다. 이어 동국대 창의융합공학부 김규태 교수의 ‘산학연 현황 및 공공기관 유치전략’과 동국대 상경대학 주재훈 교수의 ‘문화관광을 통한 균형발전의 디오니소스적 접근’ 주제 발표가 있다. 서라벌대 이상덕 교수가 진행하는 토론은 김주일 한동대 교수, 박병춘 계명대 교수, 김규호 경주대 교수, 이종인 前원자력환경공단 이사장, 나중규 대구경북연구원이 패널리스트로 참여한다. 주낙영 시장은 “공공기관 2차 이전으로 경주시에 적합한 공공기관이 유치된다면 기존 공공기관 및 기업들과 시너지 효과를 일으켜 역사·문화·에너지 혁신도시로 도약하고, 지역경제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해 활력을 불어 넣을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포럼을 통해 시민들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함께 고민하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기대했다. 이경만 기자
|
|
|
사람들
영천시 서부동에 위치한 법왕사에서 지난 7일 백미(10kg, 30포)를 지역의 어려운 이
|
영천 북안면 이장협의회는 지난 7일 최근 발생한 경북 지역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해 써달라
|
청도라이온스클럽 김병곤 회장과 회원들이 지난 7일 경북지역 산불피해의 신속한 복구와 복귀
|
문경소방서(서장 민병관)는 지난 7일 안동시 일직면에 위치한 한 농가에서 고추심기 농촌
|
영양 청기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난 7일 면 복지회관에서 어버이날 카네이션 나눔 행사를
|
대학/교육
칼럼
환경부의 ‘2022년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자료를 공익연구센터 블루닷이
|
지난 5월 1일은 135주년 노동절이었다. 그런데 대한민국의 노동절은 노동이 없는
|
의사 가은데는 좋은 의사인 양의가 있고 나뿐 의사인 악의가 있다. 세조 실록에
|
2006년부터 광역권, 초광역권 연합이라는 메가시티 정책이 나왔다. 처음엔 부·울
|
지방자치 30년에 과연 지역주민의 삶이 나아졌는지 의문스럽고, 지역 균형발전이 나
|
대학/교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