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5-08-21 00:55:08

문경에 아홉 번째 구곡(冠山九曲) 발견


오재영 기자 / 1121호입력 : 2021년 03월 23일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관산구곡 제9곡 용소

손와라는 당호가 남아있는 이경중선생이살던집 문경읍고요1리(문경문화원제공)

문경문화원(원장 현한근)은 미완(未完)으로 있던 ‘관산구곡(冠山九曲)’을 완전하게 발굴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8월 문경구곡원림보존회(회장 김동익)가 연 강좌에서 임노직 한국국학진흥원 박사가 손와유고(巽窩遺稿)에서 관산구곡(冠山九曲) 7언 율시 10수를 발견했다고 강연한 후 7개월 만이다. 임 박사는 손와(巽窩) 이경중(李慶中) 선생의 가계나 사승, 교유관계는 밝히지 못했었다.
이에 따라 문경문화원은 손와(巽窩) 이경중(李慶中) 선생을 찾아 나섰고, 전주이씨 집성촌으로 ‘중(中)’ 돌림자를 많이 쓰고 있는 문경읍 고요1리를 특정했으며, 이 마을에 살고 있는 진성인(眞城人) 이준기 씨를 통해, 손와(巽窩) 이경중(李慶中) 선생이 이 마을에 살다가 2001년 별세했고, 선생의 맏아들이 이 마을에 살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 맏아들은 이상훈(李相勳)씨로 ‘문경한과’를 운영하며, 농사를 짓고 있었고, 그의 부인은 정휘옥(鄭輝玉) 여사로 젊은 시절 활발한 사회활동을 했다.
그 집에는 아직 남쪽 마루에 ‘손와(巽窩)’라는 편액(扁額)이 걸려 있고, 손와(巽窩) 선생이 거처하던 방에는 손때 묻은 책과 훈기(薰氣)가 남아 있었다.
이경중(李慶中) 선생은 전주인(全州人)으로 정조 제4왕자 선성군 17대손이며, 1918년 문경읍 고요1리에서 태어나 2001년 1월 22일에 돌아가시고, 문경읍 팔영리 산111번지에 묘가 있다. 자는 사여(士如), 호는 우석(愚石), 손와(巽窩)다.
1960년 12월 19일 제3대 문경면의회 의원에 당선됐으며, 성균관유도회 문경시지부장을 지냈고, 이 마을에서 서당도 운영했다. 유고(遺稿)로 손와초고(巽窩草稿) 2권, 손와만록(巽窩謾錄) 1권이 있는데, 이 유고를 선성군 18대손 이재형 선생이 해제해 엮어 두었고, 그 안에 관산구곡 시가 있다.
전주이씨 선성군파 문경 입향조는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세무(世茂)로 손와 선생의 12대조다. 문경 입향후 그 아래 대인 10대조 명상(命相), 9대조 망운(望雲)은 양대가 무과(武科)를 했다.
손와 선생 유고에는 ‘관산구곡’ 외에도 ‘고요8경’, ‘제주도8경’, ‘홍도8경’ 등 현대 선비들이 자연을 보는 시각과 이를 통해 시대와 자신을 보는 눈을 엿볼 수 있다. 손와초고 2권에는 시(詩), 서(書), 기(記), 제문(祭文), 고유문(告由文), 묘지(墓誌), 묘갈명(墓碣銘), 잡저(雜著) 등 182수가 수록돼 있다.
특히 손와만담 1권은 57편의 글을 만담형식으로 썼으며, 글마다 재미있고 익살스럽게 세상이나 인정을 비판하고 풍자했다.
손와 선생의 관산구곡(冠山九曲)은 문경시 문경읍 중평리 대미산(黛眉山)에서 마성면 신현리 진남교반 용소(龍沼)까지에 이르는 구간에 설정돼 있다.
이 구곡 시는 서시(序詩)와 아홉 구비마다 읊은 9수 등 10수이며, 서시에는 대미산의 산수가 높고 커 그 밑에 장천(長川)이 굽이굽이 흐르고 예부터 ‘산수가 좋다’고 일컫는 고을의 풍경이 이 속에 열려 있다고 시작했다.
그러면서 1곡은 증봉(甑峯), 즉 시루봉으로 문경댐 중심부 평천 쪽에 있는 산이며, 여기서부터 아래로 내려오면서 9곡을 설정했다.
2곡은 벽담(碧潭)으로 신북천이 평천을 만나는 당포3리 산문리 앞, 3곡 포월(浦月)은 당포 성주봉에 뜬 달, 4곡은 마강(馬岡)으로 문경읍 고부산성 앞 신북천, 5곡은 대야평(大野平)으로 마원리 새재들, 6곡은 가학당(駕學堂), 7곡은 옥녀봉(玉女峰), 8곡은 봉명산, 9곡은 쌍강(雙江)으로 고모산성(姑母山城) 앞 영강 용소(龍沼)다.
문경에는 화지구곡(花枝九曲), 선유구곡(仙遊九曲), 선유칠곡(仙遊七曲), 쌍용구곡(雙龍九曲), 석문구곡(石門九曲), 산양구곡(山陽九曲), 청대구곡(淸臺九曲) 등 7개가 전해왔고, 최근 설정한 영강구곡(潁江九曲) 등 8개가 있다.

오재영기자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사람들
영천시장애인종합복지관은 지난 19일 성운대학교와 연계한 ‘수채색연필로 쉽게 그리는 보타니 
김천 봉산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 해뜰란이 어르신의 건강한 식생활과 복지 증진을 위해 상호 
김천 아포읍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난 19일, 한국교통안전공단의 지원을 받아 취약계층 1 
바르게살기운동 경주시협의회 회원 18명이 지난 19일 강동면 장애인 복지시설 ‘예티쉼터’ 
대한미용사회 영천시지부는 지난 19일, 성모자애원 나자렛집에서 지역사회의 소외계층을 위한 
대학/교육
대구교육청-굿네이버스, 학생 마음건강·생명존중교육 협력  
발달 장애인 돕던 정연제 변호사, 대구대 박사 되다  
대구보건대, ‘DHC 서포터즈’ 발대식·워크숍  
대구한의대, 영덕군과 함께 ‘K-MEDI 글로벌 유학생 페스티벌’  
국립경국대 농업과학연구소, ‘3P 화분매개 Network 중점연구 하계워크숍’  
영진전문대 AI융합기계계열, 취업률 80%·대기업 353명 ‘취업강자로 부상’  
문창고, 2025 SW미래채움 SW·AI 고교 챌린지 해커톤 대회 수상  
청도교육청, 을지연습 전시 현안과제 토의  
호산대, 2025년 전문대학 글로벌 현장학습 사업 발대식  
국립경국대, 2026학년도 신입생 수시모집 1615명 선발  
칼럼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물길을 막으면 저항력이 생기고 부패하며 임계점에 도달하면 둑이 터진다. 인간의 길 
이생망(此生亡)이란 말은 \'이번 생은 망했다\'의 줄임 말이다.계급 사회를 비관 
대학/교육
대구교육청-굿네이버스, 학생 마음건강·생명존중교육 협력  
발달 장애인 돕던 정연제 변호사, 대구대 박사 되다  
대구보건대, ‘DHC 서포터즈’ 발대식·워크숍  
대구한의대, 영덕군과 함께 ‘K-MEDI 글로벌 유학생 페스티벌’  
국립경국대 농업과학연구소, ‘3P 화분매개 Network 중점연구 하계워크숍’  
영진전문대 AI융합기계계열, 취업률 80%·대기업 353명 ‘취업강자로 부상’  
문창고, 2025 SW미래채움 SW·AI 고교 챌린지 해커톤 대회 수상  
청도교육청, 을지연습 전시 현안과제 토의  
호산대, 2025년 전문대학 글로벌 현장학습 사업 발대식  
국립경국대, 2026학년도 신입생 수시모집 1615명 선발  
제호 : 세명일보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 223-59 (마지락길 3) / 대표전화 : 054-901-2000 / 팩스 : 054-901-3535
등록번호 : 경북 아00402 / 등록일 : 2016년 6월 22일 / 발행인·편집인 : 김창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창원 / mail : smnews123@hanmail.net
세명일보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세명일보 All Rights Reserved.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수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