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애향인 서봉 이동녕 출판기념회 | 문경문화원(원장 현한근)은 ‘근현대인물사 제1집, 애향인(愛鄕人) 서봉(瑞峰) 이동녕(李東寧)’을 발간하고, 지난 17일 출판기념회를 개최했다.
이를 위해 문경문화원은 지난 2019년 1월 8일 이사회에서 문경의 불세출(不世出) 인물인 이동녕 선생을 근현대인물사 제1집 인물로 선정했다.
그리고 3년 동안 현한근 편찬위원장을 비롯해 이욱, 김시종, 김종호, 오석윤, 이정록, 정창식, 이창녕, 이욱재 편찬위원이 자료를 조사하고, 집필과 편집을 거쳐 발간에 이른 것이다.
이 책 발간은 문경시와 아세아시멘트(주)가 지원했으며, 특히 이동녕 선생의 차남인 이병무(李秉茂) ㈜아세아시멘트 회장이 여러 차례 문경문화원을 방문해 편찬위원들을 격려했다.
서봉 이동녕 선생은 우봉인(牛峯人)으로 1905년 문경읍 팔령리에서 아버지 병주와 어머니 부림 홍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나 어려서는 서당에서 한학을 공부했으며, 1918년 문경공립보통학교를 졸업했다.
그리고 18세 때인 1922년 문경군청 근무를 시작으로 공직에 몸을 담아 1935년 경북도청으로 영전했다.
그러다가 1942년 봉명흑연광업소 총무부장으로 광산과 인연을 맺은 후 광복을 맞고, 1947년 귀속광구 봉명흑연광업소 경영권을 인수했다.
그 후 어려움을 극복하고 봉명광업소를 성장시켜 성공한 기업가로, 제4,6,7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정치가로, 영남대학교 창건, 성균관대학교 경영, 문경여자고등학교와 문창고등학교를 설립한 육영사업가로 우리니라 근현대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무엇보다 수많은 희사(喜捨)를 통해 낙후된 문경을 일군 지역사회개발가로 전무후무(前無後無)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날 출판기념회에는 서봉 선생의 아들 세무, 병무, 윤무 3형제와 손자로 지난 11월 아세아시멘트(주) 회장으로 취임한 훈범씨가 참석했다.
또 고윤환 시장, 고우현 경상북도의회 의장, 정진표 문경교육장, 안동현 문경경찰서장, 신영국 문경대총장, 고영조 문경유림단체협의회장, 김진태 문경여고 교장, 김해숙 문경여고 총동창회장, 이강홍, 이옥무, 이영무, 이선녕 우봉이씨종원, 서봉 선생이 주로 거주하시던 마성면 남호1리 김국주 이장이 증언자로 참석했다.
행사는 현한근 문경문화원장의 발간사, 고윤환 문경시장의 축간사, 안동현 문경경찰서장, 정진표 문경교육장의 축사, 임이자 국회의원의 축전 소개, 우봉이씨종중이 채순홍 서예가가 쓴 책 제자(題字)인 ‘愛鄕人 瑞鳳 李東寧’ 편액(扁額)을 이세무 가족대표에게 기증하고, 이세무 회장이 인사했다.
이어서 가족과 내빈들이 시루떡을 나누었으며, 마지막으로 참석자 전원이 기념촬영을 했다.
이날 행사는 코로나19 때문에 크게 축소해 진행했으며, 발열체크, 손소독, 행사장 방역 등을 철저하게 준수했다.
현한근 원장은 “수양산(首陽山) 그늘이 강동(江東) 팔십리를 간다는 말처럼 서봉 선생님 서거 30년이 되어서도 우리는 선생님의 은덕 속에 살아가고 있음에 다시 한 번 깨닫는다.”며, “이 책은 그 사실의 기록으로서 세세손손 이어져 후손들이 물려받고, 그럼으로써 우리 문경이 더욱 발전하고, 훌륭한 인물이 많이 배출되는 고장이 되기를 기원한다.”고 말했다. 오재영기자 |
|
|
사람들
영천시장애인종합복지관은 지난 19일 성운대학교와 연계한 ‘수채색연필로 쉽게 그리는 보타니
|
김천 봉산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 해뜰란이 어르신의 건강한 식생활과 복지 증진을 위해 상호
|
김천 아포읍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난 19일, 한국교통안전공단의 지원을 받아 취약계층 1
|
바르게살기운동 경주시협의회 회원 18명이 지난 19일 강동면 장애인 복지시설 ‘예티쉼터’
|
대한미용사회 영천시지부는 지난 19일, 성모자애원 나자렛집에서 지역사회의 소외계층을 위한
|
대학/교육
대구교육청-굿네이버스, 학생 마음건강·생명존중교육 협력 |
발달 장애인 돕던 정연제 변호사, 대구대 박사 되다 |
대구보건대, ‘DHC 서포터즈’ 발대식·워크숍 |
대구한의대, 영덕군과 함께 ‘K-MEDI 글로벌 유학생 페스티벌’ |
국립경국대 농업과학연구소, ‘3P 화분매개 Network 중점연구 하계워크숍’ |
영진전문대 AI융합기계계열, 취업률 80%·대기업 353명 ‘취업강자로 부상’ |
문창고, 2025 SW미래채움 SW·AI 고교 챌린지 해커톤 대회 수상 |
청도교육청, 을지연습 전시 현안과제 토의 |
호산대, 2025년 전문대학 글로벌 현장학습 사업 발대식 |
국립경국대, 2026학년도 신입생 수시모집 1615명 선발 |
칼럼
거경궁리(居敬窮理)는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성리학에서
|
올해 10월 말, 경주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라는
|
<잃어버린 여행가방>은 박완서 작가의 기행 산문집이다. 이 글 속에는 인생의 여
|
물길을 막으면 저항력이 생기고 부패하며 임계점에 도달하면 둑이 터진다. 인간의 길
|
이생망(此生亡)이란 말은 \'이번 생은 망했다\'의 줄임 말이다.계급 사회를 비관
|
대학/교육
대구교육청-굿네이버스, 학생 마음건강·생명존중교육 협력 |
발달 장애인 돕던 정연제 변호사, 대구대 박사 되다 |
대구보건대, ‘DHC 서포터즈’ 발대식·워크숍 |
대구한의대, 영덕군과 함께 ‘K-MEDI 글로벌 유학생 페스티벌’ |
국립경국대 농업과학연구소, ‘3P 화분매개 Network 중점연구 하계워크숍’ |
영진전문대 AI융합기계계열, 취업률 80%·대기업 353명 ‘취업강자로 부상’ |
문창고, 2025 SW미래채움 SW·AI 고교 챌린지 해커톤 대회 수상 |
청도교육청, 을지연습 전시 현안과제 토의 |
호산대, 2025년 전문대학 글로벌 현장학습 사업 발대식 |
국립경국대, 2026학년도 신입생 수시모집 1615명 선발 |
|